텅 빈 음식점과 비수기 골프장

점식식사를 하기 위해 어떤 식당에 들어갔다가 그 식당이 거의 비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도대체 왜 점심시간에 영업을 하는지 의아해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몇 명 안 되는 손님들이 올려주는 매상으로 어떻게 식당 운영이 가능한지 궁금할 것입니다. 점심시간에 영업을 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때 식당주인은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을 구분 해야 합니다. 식당비용의 상당 부분은 고정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임대료 주방요기 식탁 접시 식기 등은 고정비용 항목들입니다. 점심시간에 영업을 하고자 할 때는 음식 재료비와 업업원에 대한 추가 임금 등과 같은 가변비용만을 고려해야 합니다. 식당주인은 점심시간 동안의 매상이 점심시간 영업에 소요되는 가변비용보다 작을 때 점심시간 영업을 중단할 것입니다. 여름 휴양지의 골프장 주인도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계절에 따라 수입이 큰 폭으로 변하기 때문에 골프장 주인은 언제까지 골프장을 열어놓아야 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도 고정비용은 의사결정과 무관합니다. 골프장 주인은 매출액이 골프장을 운영하는데 들어가는 가변비용보다 큰 기간에만 골프장을 열어 놓을 것이다. 식당은 식탁이 대부분 비어 있어도 영업을 하는 것이 유리할 때도 있습니다. 

경쟁시장의 시장공급선

지금까지는 기업의 공급곡선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시장 전체의 공급곡선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해야 합니다. 먼저 기업의 숫자가 고정되어 있는 시장을 분석하고 이어서 기업의 진입과 퇴출이 가능하여 기업의 숫자가 변할 수 있는 시장을 분석합니다. 이 두 경우는 각각 단기와 장기 시장상황을 나타내기 때문에 모두 중요합니다. 단기적으로 는 기업들의 진입과 퇴출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숫자가 일정하다는 가정이 적용됩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시장에 있는 기업의 숫자가 시장상화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기업의 변할 수 있다느 가정이 더 적절합니다.
1000개의 똑같은 기업이 존재하는 시장을 생각해 봅시다 각 기업은 가격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수량을 생산할 것입니다. 가격이 평균가변비용을 초과하는 한 각 기업의 한계비용곡신이 기업의 공곱곡선입니다. 따라서 시장에 공급되는 전체 수량은 각 기업이 생산하는 생산량의 합이 됩니다. 즉 시장공급곡선은 각 기업의 공급곡선을 합한 것입니다. 각 기업은 똑같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시장공급량은 개별기업 생산량의 1000배입니다. 시장고급의 단기
이제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하거나 퇴출할 수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또 모든 기업이 같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동일한 생산요소 시장에서도 생산요소를 구입할 수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즉 잠재적 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의 비용조건이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시장에서 기업들의 진입 퇴출 결정은 종전 기업의 기업주들과 새로운 기업을 시작하려는 기업인들에게 달려 있습니다. 종전 기업들이 이윤을 내고 있다면 잠재적 경쟁기업들은 시장에 진입할 유인을 갖습니다. 이와 같은 진입이 발생하면 시장에 존재하는 기업 수가 증가하고 시장고급량이 증가하여 시장가격과 기업이윤이 낮아집니다. 반대로 종전 기업들이 손실을 입고 있다면 일부 기업들은 시장에서 퇴출할 것입니다. 기업의 퇴출로 시장에 존재하는 기업 수와 시장공급량이 감소하여 시장가격이 상승하고 기업손실은 사라질 것입니다. 이런 과정이 진행되면 장기적으로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기업들의 경제적 이윤은 0이 됩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업이윤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윤=(P-ATC)*Q 이 식에서 가격이 평균총비용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기업이윤이 0이됩니다. 가격이 평균총비용보다 큰 면 기업은 이윤을 누리고 이는 새로운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하도록 하는 유인을 제공합니다. 가격이 평균총비용보다 작으면 기업은 손실을 입고 이는 기업들을 시장에서 퇴출하도록 유도합니다. 이 과정은 오직 가격이 평균총비용과 일치할 때 정지됩니다. 이 분석은 매우 놀라운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앞에서 우리는 경쟁시장의 기업들은 가격과 한계비용을 일치시켜 이윤을 극대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기업의 자유로운 시장 진입 퇴출이 장기적으로 가격과 평균총비용을 일치시킨다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나 가격이 한계비용과 같고 동시에 평균총비용과도 같은 것은 기업이 평균총비용이 최소가 되는 점이 생산할 때만 가능한 일입니다. 앞장에서 우리는 평균총비용이 극소가 되는 생산규모를 효율적 생산규모라고 배웠습니다. 따라서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운 경쟁시장의 장기 균형상태에서 기업들은 가장 효율적인 규모로 생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장공급에 장기입니다.

많은 분들께 꿀팁을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요컨대
,